[우리말 바루기] ‘밥힘’으로 살 수 없는 이유

2024-12-11

한국인은 밥을 중요시한다. 의례적 인사말로 “밥 한번 먹자”는 표현이 있을 정도다. 또 한국인이라면 ‘밥심으로 산다’는 관용적 표현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정이 많은 한국인들은 위로를 건넬 때 “밥심이 최고다. 밥 굶지 말고 다녀라”와 같이 말하곤 한다.

밥을 먹고 생기는 힘을 가리켜 이처럼 ‘밥심’이라고 쓰는데, 혹자는 ‘밥힘’으로 써야 하는 게 아니냐고 물을 법도 하다. ‘밥’과 ‘힘’이 만나 이뤄진 합성어이니 발음은 [밥심]이지만, 표기할 때는 ‘밥힘’으로 적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그러나 바른 표기법은 ‘밥심’이며, 발음은 [밥씸]으로 난다.

‘힘’은 ‘심’의 본딧말로, ‘심’은 ‘힘’의 사투리 표현이다. 따라서 ‘밥심’을 ‘밥힘’의 사투리라고 생각하기 쉽다. ‘심’이 사투리라면 ‘심’이 붙은 낱말은 모두 사투리가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그러나 ‘힘’이 다른 낱말과 결합할 때는 사정이 달라진다. 다른 낱말과 짝을 이룰 때 발음하기 힘든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뒷힘, 뚝힘, 뱃힘, 입힘, 헛힘’ 등을 발음해 보면 자연스럽게 소리 내기가 쉽지 않다는 걸 금세 느낄 수 있다.

처음에는 ‘힘’이 붙어 새로운 낱말이 만들어졌겠으나 세월이 흐르며 ‘뚝심, 뱃심, 입심, 헛심’ 등의 경우 발음하기 편한 ‘심’이 붙은 형태가 표준어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뒷심’ 역시 ‘뒷힘’으로 발음하기 힘들어 많은 이가 ‘뒷심’으로 쓰다 보니 ‘뒷심’이 결국 표준어로 등재된 경우라 할 수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