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혀 안써 or 한달에 100달러 미만" 데이트 비용도 줄이는 美 Z세대들 [글로벌 왓]

2025-07-3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미국 Z세대들이 높아지는 물가에 대응해 허리띠를 조이며 데이트에 드는 비용마저 극도로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미국의 Z세대 중 50% 이상이 데이트에 비용을 전혀 지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번 조사는 18~28세 사이의 청년 9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데이트에 비용한 지출한 사람들 가운데서는 25%의 남성과 30%의 여성이 한달에 100달러 미만을 쓰고 있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이 데이트에 대한 지출까지 줄이고 있는 것은 미국 내 물가가 최근 몇 년간 크게 오른 영향이다. 물가 상승률을 보여주는 대표 지표인 CPI는 2021년 6월 271.70에서 올해 6월 322.56%로 4년새 19% 올랐다. BofA의 소비자·소매 및 선호은행 부문 사장 홀리 오닐은 "Z세대는 성인이 되는데 드는 비용이 더 많아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고, 전반적인 생활비 상승을 체감하고 있다"며 "그들은 외식을 줄이고, 더 저렴한 식료품점에서 쇼핑하고, 예산을 설정해 소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저축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다'고 답했고 24%는 '재정을 개선하기 위해 부채를 갚고 있다'고 응답했다.

문제는 앞으로 물가 압박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상호관세가 오는 8월 1일 발효되면서 멕시코산 커피와 쇠고기, 오렌지주스부터 중국산 가정용품과 장난감, 의류 등 생활용품의 가격을 잇따라 밀어올릴 우려가 커진 까닭이다. 지난달 미국 CPI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 오르며 지난 2월(2.8%)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핵심 상품들의 가격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유행하던 2021년 이후 최고치로 오른 상태다. 자동차를 제외한 핵심 상품 가격은 지난달 0.55% 상승해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장난감 가격도 1.8% 올라 2021년 4월 이후 최고 폭으로 상승했다.

골드만삭스의 고정수익 및 유동성 솔루션 부문 책임자 케이 헤이는 "관세 영향의 초기 징후가 일부 나타났지만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라며 "물가 압력은 7~8월을 지나며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프린시펄 자산운용사의 수석 글로벌 전략가인 시마 샤는 "가정용 가구, 의류 등의 가격 상승은 관세가 핵심 상품 가격에 서서히 스며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짚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