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 추진…민간 기술 활용 나선다

2025-11-24

그동안 보안 우려 등 민간 AI 사용 제약

'범정부 AI 공통 기반' 통해 활용 가능

이달 말부터 내년 2월까지 시범 운영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정부가 민간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나섰다.

행정안전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중앙·지방정부가 내부망에서도 민간 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4일 밝혔다.

현재까지 국내외 민간 AI 서비스는 내부 행정 데이터 유출 위험 등 보안 우려에 따라 인터넷망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정부 업무 전반에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민간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AI를 행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해 업무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점이 지적돼 왔다.

이에 행안부와 과기정통부는 보안이 확보된 인프라에서 민간의 최신 AI 기술을 쉽고 빠르게 이용하고,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중점 사업으로 추진한다.

'범정부 AI 공통기반'은 민간의 다양한 AI 모델, 학습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중앙·지방정부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중앙·지방정부는 중복개발·투자 없이 내부 행정업무로부터 공공서비스까지 다양한 AI 기술을 업무 전반에 적용할 수 있어, 과학적인 정책기획과 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 본격적인 'AI 행정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의 운영·확산에 앞서 실제 사용자의 다양한 의견수렴, AI 서비스 기능 검증 및 품질개선 등을 위해 이달 말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서비스 시범 운영한다.

한편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범정부 AI 공통기반 개시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서비스 시연 및 향후 운영계획을 밝혔다.

행안부와 과기정통부는 시범운영 이후인 내년 3월부터는 전체 중앙·지방정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공공부문에 AI를 적극 활용해 정책 결정을 고도화하고, 과학화함으로써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서비스 개시를 계기로 AI 3대 강국 실현에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통해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민간의 최신 AI 기술을 공공부문에 적극 도입·활용해 국민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 드리는 'AI 민주정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lahbj1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