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A 내야수 김규성(28)은 2024시즌 27경기에 출장했다. 이 중 단 2경기만 선발로 나갔다. 거의 대수비, 대주자로 교체 출전했다. 올해는 지난달 29일 대전 한화전에 시즌 3번째 선발 출장하며 지난해 기록을 일찌감치 넘어섰다.
2016년 KIA에 입단한 김규성은 지난해까지 1군과 2군을 오가며 백업으로 드문드문 경기에 나섰다. 수비와 주루에 장점이 있지만, 타격에서 주전으로 발돋움할 계기를 만들지 못했다. 올해는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며 지난해보다 나은 출발을 했지만, 김규성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첫 번째는 수비였다. 이범호 KIA 감독은 백업 내야수에 대해 설명하며 “수비적인 것으로 봤을 땐 유격수를 가장 많이 봤던 김규성이 제일 낫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8회나 9회 대수비로 나갈 수 있는 선수로는 김규성과 홍종표가 적합하다”고 부연했다.

하지만 개막과 함께 KIA에 큰 변수가 생겼다. 3루수 김도영이 지난달 22일 광주 NC전에서 약 4주간 이탈이 예상되는 햄스트링 부상을 당했다. 25일 광주 키움전에선 유격수 박찬호가 무릎을 다쳐 다음 날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주전 3루수와 유격수가 동시에 빠진 건 어느 팀에나 중대한 변수다. 더군다나 김도영은 지난해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 박찬호는 골든글러브 수상자다. 자연스럽게 백업 내야수들에게 출장 기회가 주어졌다. 그렇다고 모든 후보 선수가 기회를 잡을 수 있던 것은 아니다.
이 감독은 5선발 김도현을 1군 엔트리에 등록하는 시점에 맞춰 야수 1명을 내릴 생각이었다. 김규성, 홍종표, 윤도현 등이 남은 자리를 놓고 경합하는 구도였고, 최종적으로 윤도현이 말소됐다. 수비에서 안정감이 필요하다는 판단이었지만, 김규성은 시범경기 타율 0.583으로 좋은 타격감을 유지하며 개막을 맞았다.

지난달 27일 광주 키움전부터 선발 유격수로 뛰고 있는 김규성은 오히려 타격에서 더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30일 대전 한화전에선 2루타 포함 멀티히트 활약으로 팀의 5-3 승리에 보탬이 됐다. 김규성은 2일 광주 삼성전에도 9번 타자 유격수로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김규성은 5일 잠실 LG전에 맞춰 박찬호가 복귀한 후에도 당분간 주요 임무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김규성은 김도영이 빠진 3루뿐 아니라 종아리 상태가 좋지 않은 김선빈 대신 2루에도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감독은 “박찬호가 오면 3루에 변우혁을 쓰고, 2루에 김규성을 쓸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