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보복에 보복을 잇는 관세 공방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을 상대로 ‘대(對) 미국 공동 대응에 나서자’고 제안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3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외교관들은 다른 국가들에 ‘외교적 매력 공세(diplomatic charm offensive)’에 나서라는 중앙 정부의 지침에 따라 각국 대사관에 대 미국 대응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들은 로이터에 “한국과 일본, 유럽 등 미국의 우방 국가들과도 접촉했다”고 전했다.
이는 미국과 양보 없는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외교적으로 우군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달 11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며 “중국과 유럽연합(EU)이 미국의 ‘괴롭힘’에 함께 맞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미 전선 형성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시 주석은 올해 첫 해외 순방으로 14일부터 18일까지 닷새 동안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캄보디아를 잇따라 찾으며 반(反)미국 관세 ‘세 결집’에도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로부터 대규모 상호관세를 예고 받은 것을 계기로 한국과 일본, 유럽 등 동맹국과 미국 사이 틈을 파고드는 모양새다.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해 다른 국가 이익을 해친다면 국제 사회이 강한 반대에 직면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냈다. 워싱턴 주재 한국과 일본 대사관은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중국은 또 자국 외교부·상무부 공무원을 대상으로는 ‘전시 태세’로 미국과의 관세 전쟁에 임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외교·상무 관료들은 휴가 계획을 취소하고, 24시간을 켜두라는 지침을 하달 받았다. 로이터는 중국 외교부가 해외 공관장들을 베이징으로 불러들여 미국에 대한 대응 방안을 조율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