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인공지능(AI) 기본사회’를 공식 의제로 선언했다. 한국이 더 이상 AI 논의를 따라가는 나라가 아니라 의제 자체를 설계하는 나라가 되겠다는 역사적인 선언이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으로서 선언한 ‘APEC AI 이니셔티브’는 AI를 소수 선진국의 전유물이 아니라 전 인류의 공공재로 다루겠다는 방향성도 분명히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국내에서 시작된 ‘AI 기본사회’ 논의가 이제 세계 무대의 언어가 됐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같은 시기 증시는 전혀 다른 풍경을 연출했다. 지난주 국내 증시는 롤러코스터를 타듯 출렁였다. 월가 전반에 ‘AI 투자 과열’과 ‘거품론’이 확산되고 엔비디아가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AI 기업들이 진짜로 돈을 벌 수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되며 글로벌 시장이 흔들리면서다.
자연스럽게 소환되는 게 닷컴 버블이다.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이 세상을 바꿀 것이라는 기대 속에 매출도 이익도 없는 닷컴 기업들에 천문학적 가치가 붙었다가 2000년대 초 거품이 꺼지며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떠안았다.
하지만 오늘의 AI를 단순히 닷컴 버블의 재연으로 보는 것은 과도한 단순화다.
첫째, 당시에는 기술·인프라·시장 준비가 미완성인 상황에서 기대가 앞질렀다면 지금의 AI는 검색·광고·클라우드·반도체·생산성 소프트웨어는 물론 일반 소비자앱까지 이미 광범위한 상용화를 이룬 상태에서 확산되고 있다. 기술과 수요, 인프라가 맞물린 수준 자체가 다르다.
둘째, AI는 본질적으로 초(超)자본 집약적 인프라 산업이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대규모 데이터센터, 전력망, 반도체 설계 역량 등 막대한 실물 투자가 전제된다. ‘닷컴 도메인’과 홈페이지 몇 개로 승부하던 시절과는 구조가 전혀 다르다. 엔비디아·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이른바 AI 빅테크의 실적과 투자 규모는 이미 현실의 산업구조 위에서 형성돼 있다.
셋째, AI는 인터넷보다 더 강한 플랫폼·네트워크 효과를 가진 기술이다. 한 국가와 기업의 AI 역량이 경쟁력을 갖추면 제조·금융·의료·교육·행정 등 전 산업에 파급된다. 그래서 ‘AI 기본사회’는 단순한 산업 정책이 아니라 복지·노동·교육·도시·외교를 아우르는 새로운 사회계약의 틀에 가깝다.
그렇다고 현 시장에 거품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밸류에이션이 높은 것은 사실이고 ‘AI’라는 간판만으로 실체보다 과도한 기대가 붙은 종목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공포에 질려 AI 전략 전체를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과열과 거품은 정교하게 관리하면서도 큰 방향성은 흔들지 않는 것이다.
AI 시장은 아직 시작 단계다. 지금은 엔비디아·구글 같은 소수 기업이 AI 주식을 대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AI가 바꿀 영역은 의료 진단, 신약 개발, 기후·에너지 관리, 교육과 맞춤형 학습, 행정 혁신, 기업 생산성 제고까지 훨씬 넓다.
물론 AI 거품론이 무가치한 것은 아니다. 과열된 기대를 식히고 부실한 사업 모델과 허황된 스토리를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그것이 사회 전체를 ‘AI 회피론’으로 몰고 가서는 안 된다. 이 대통령이 세계 무대에서 내건 “모든 인류를 위한 글로벌 AI 기본사회” 비전을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AI 세계 3강으로 도약할 수 있느냐가 향후 10년, 한국의 국력과 미래를 가를 것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AI MY 뉴스] 홍콩 기술주 '실적 변동성 속 옥석가리기, 방어적 투자전략 유효'](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기고] 기업의 AI 전환과 고용의 메타모르포시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7/news-p.v1.20251117.5e213db59269446d9e9d4c84a74e77b0_P3.jpg)
![[신간] 10가지 핵심 경제 키워드로 본 '부의 이동 트렌드 2026'](https://img.newspim.com/news/2025/11/24/2511241247435530.jpg)
![영호남 손잡고 반도체 벨트 만든다…수도권 공급망 비수도권 확장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TVTHGI_1.jpg)


![[청론직설] “인재·혁신 어디서 싹틀지 몰라…‘연구 민주화’가 기술 발전 조건”](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V1WA2R_1.jpg)
![[뉴스핌 이 시각 PICK] AI 버블론 속 단기 조정 언제까지?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1/24/251124073624262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