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내년부터 'AI'로 불량 농·수산가공 수입식품 차단

2025-11-13

12월까지 시범운영 후 실시

"안전 관리 혁신 추진 계속"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내년 1월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부적합 가능성(위험도)이 높은 식품은 통관 과정에서 자동으로 선별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위해도가 높은 수입식품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가공식품 중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AI 위험 예측 모델을 내년 1월부터 수입 통관 검사에 적용한다고 13일 밝혔다.

기술 발전, 환경 오염 등 식품안전 위협 요인이 다양해져 식약처는 2023년부터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7개 품목별 위해 요소 특징을 반영한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현재 이 모델은 과자류·조미식품의 통관 단계 무작위검사 대상을 선별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올해 개발된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AI 위험 예측 모델은 오는 12월까지 시범 운영한다. 시스템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점검한 후 내년 1월부터 수입식품 통관 검사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국민이 수입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입식품 안전관리 혁신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