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 '산림재난' ICT 기업과 해법 찾아야

2025-04-17

“대형산불 발생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을 보니 우리 기술을 조금만 응용해 진화에 이용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정부가 시장만 열어주면 얼마든지 우리 환경에 맞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지난달 경북지역 산불로 인명과 재산 규모에서 역대 최대 피해가 발생했다. 2019년 강원지역 대형산불과 비교해 피해 면적만 2배 이상이다.

이번 산불로 여러 문제가 드러났다. 특히 진화 헬기 부족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산불 진화에 절대적 역할을 하는 헬기가 노후화되고 운영 가능한 기종도 부족해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장기적 관점으로 헬기나 항공기 등 대형 산불 진화 장비 도입으로만 재난을 극복하기는 어렵다. 헬기나 항공기 등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 안전상 야간 운행이 어렵고 평소 운영비도 만만치 않은 데다 추락 등 사고 우려도 크다.

결국 우리나라 산림 환경에 맞는 정보통신기술(ICT) 적용이 이뤄져야 한다.

아직 국내 산림재난 관련 시장은 기업이 적극적으로 진출하기에 규모가 작다. 기업이 산림재난을 목적으로만 연구개발(R&D)하기 힘들다는 이야기다.

산림청은 드론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장비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현장에서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헬기를 대체할 수 있다고 기대를 모으는 드론은 직접적인 진화가 아닌 정보수집을 위한 정찰용으로 활용하는 게 현실이다.

기업은 정부가 산림재난 관련 R&D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손잡고 현장에 꼭 필요한 기술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업은 시장이 열리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미래를 예측해 필요한 시장을 열어주고 적극적인 기술개발이 이뤄지도록 돕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

양승민 기자 sm104y@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