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이 “독일에 있는 그림 잘 그리는 여자”라 했던 노은님, 대표작을 만나다

2025-10-14

독일에 노은님이라는 그림 잘 그리는 여자가 있다.

1979년 파리에서 만난 백남준(1932~2006)이 흘리듯 한 말이다. 현대화랑 박명자 회장은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 이듬해 서울에서 ‘독일 속의 한국 현대미술’이라는 제목으로 백남준ㆍ노은님 2인전을 열었다. 1946년 전북 전주에서 태어나 경기도 포천에서 결핵관리요원으로 일하다 1970년 파독 간호보조원으로 함부르크에 간 노은님이 국내에 첫선을 보인 전시다.

노은님은 이후 1982년 서울 공간미술관, 1986년 원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현대화랑에서는 1992년 ‘노은님전’을 시작으로 2015년 ‘내게 긴 두 팔이 있다면 이 세상 모든 것을 안아주고 싶다’까지 개인전을 이어갔다. 올해 55주년을 맞은 갤러리현대가 구관(현대화랑)에서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를 여는 이유다. 2022년 10월 18일 독일에서 세상을 뜬 노은님의 3주기 전이기도 하다.

15일부터 서울 사간동 현대화랑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엔 ‘노은님 월드’가 피어나던 1980~90년대 작품 17점이 걸렸다. 1984년 백남준, 요셉 보이스와 함께 ‘평화를 위한 비엔날레’에 참여하며 전성기를 구가했던 노은님의 대작들이다. ‘생명의 즉흥시’라 불리던 노은님 세계의 핵심이라 할 새ㆍ고양이ㆍ호랑이ㆍ오리 등을 간결한 점과 선, 강렬한 필치로 담았다. 장식을 배제한 검고 굵은 선에 매인 데 없는 독창성이 살아 있다.

노은님은 사람과 동물에 굳이 구분을 두지 않았다. 18세기 후반에 지어진 함부르크 알토나 성요하니스 교회가 불타자 교회 측은 독일인도 교인도 아닌 노은님에게 재건을 맡겼다. 노은님은 1997년 물ㆍ불ㆍ공기ㆍ흙 4원소를 점ㆍ선ㆍ면으로 추상화한 유리 480장으로 교회를 희고 밝게 꾸몄다. “사람만 교회에 오는 게 아니라 동물도 오고 모두 다 와서 즐길 수 있으면 어떨까”라며. 2019년에는 독일 미헬슈타트 오덴발트미술관에 그를 기리는 영구 전시관이 개설됐다.

14일 전시장에서 만난 노은님 아카이브의 권준성 관장은 “노은님에 대한 세간의 두 가지 오해가 있다”며 “주사도 놓을 줄 몰랐다는데 평생 간호사로 불렸고, 먹을 써본 적이 없는데 ‘먹그림’이라 불렸다”고 말했다. 간호보조원으로 3년 일한 그를 ‘파독 간호보조원 출신 화가’로만 한정 짓는 것은 일흔여섯에 세상을 뜬 노은님을 영원히 20대에 가둬두는 표현이다.

20대의 노은님은 병원에서 주 20시간 일하며 짬짬이 그림을 그렸다. 따로 배운 적은 없었다. 1972년 독감으로 결근한 그를 찾아온 간호장은 방에 쌓여 있는 그림에 깜짝 놀랐다. 근무하던 함부르크 항구병원 회의실에서 연 ‘여가를 위한 그림들’이 첫 개인전. 이듬해부터 1973년 함부르크 국립 예술대학에 입학해 주경야독했고, 1990년에 함부르크 국립 조형미술대학 교수가 됐다. 한지와 동양 붓을 썼지만 “먹은 힘이 없는 것 같다”며 사용하지 않았다. 권 관장은 “힘 빼고 그렸으되 힘 있는 노은님 세계, 동양의 명상과 서양 표현주의의 결합이라 불리던 그의 조형미가 재평가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전시작은 모두 박명자 회장 소장품이다. 박 회장은 이 가운데 ‘큰 물고기 식구들’(1991)을 비롯한 대작 세 점을 노은님 아카이브에 기증했다. 권준성 관장은 “한지에 큰 붓으로 그린 물고기도 새도 모두 노은님의 자화상”이라며 “표제작 ‘빨간 새와 함께’ 속 빨간 새도, 새가 기대어 안긴 검은 사람도 노은님 자신이다. 그의 그림들이 관람객에게 위로를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생전에 노은님은 이렇게 썼다. “인생의 숙제를 푸는데 그림은 나에게 도구였으며 길이었다. 그 속에서 나는 나를 태우고, 녹이고, 잊고, 들여다보았다. 살아남기 위해 전쟁터 병사처럼 싸울 필요는 없다. 오히려 풀밭에서 뛰노는 어린아이 같아야 한다.” 바로 옆 두가헌갤러리에는 현대화랑의 신년 달력으로 제작됐던 소품들을 걸었다. 전시는 다음 달 23일까지, 무료.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