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국제 금 가격이 세계 정세와 함께 출렁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황금 시세도 변동성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10월 7일 국제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한 뒤 COMEX 금 선물 가격은 다음 날 온스당 4,071.5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급등세는 중국내 금 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10월 9일 중국내 순금 귀금속 가격은 그램당 1,160위안을 돌파했으며, 일부 매장에서는 그램당 1,176위안에 판매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국제 금 가격 추세와 관련해 투자 상품으로 금을 매입할 경우 변동성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고 경고합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금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지정학적 갈등의 전개 방향 등에 따른 단기적인 기술적 조정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
실제 가자지구 하마스 휴전 협정 체결 소식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1단계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고 발표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10월 10일 금값은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하마스 휴전 협정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경우 국제 금 가격 조정은 한단계 더 심화될 수 있습니다. 황금이 마냥 안전 자산인 것만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물론 분쟁이 재개될 경우 안전자산 수요와 함께 저가 매수세가 유입돼 금값이 한번 더 껑충 뛰어오를 수 있습니다
국제 요인 외에 중국 국내에서는 황금 소비 트렌드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전통적인 금 시장 구조를 바꾸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황금에 대한 전통적 결혼 수요가 줄어든 대신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창의적 디자인의 트렌드 금 상품과 휴대폰 스티커 등 소셜 화폐 특성을 지닌 금 소품 등 새로운 골드 러시가 일고 있습니다.
옛날 처럼 황금을 반지와 목걸이 등 결혼의 폐물로 여기는 풍조에서 자기 만족과 사교의 수단으로 여기는 소비 패턴으로 황금 소비의식이 조금씩 전환되고 있는 것입니다.
상품으로 황금 투자에 나설 때도 단순히 가격 요인을 쫓기 보다는 소비 트렌드와 전체적인 시장 구조의 변화를 주목해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황금 산업은 중국에서도 주로 남부 지방을 위주로 발달했습니다. 최신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는 6만 3,400개의 금 보석 가공및 수출 회사가 있으며, 그중 거의 절반(40.49%)이 중국 남부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중국 남부지역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황금산업 중심지입니다.
특히 주강 삼각주 일대 광둥성 지역은 중국 황금산업의 본고장으로 불립니다. 그 뒤를 이어 양쯔강(장강) 삼각주 지역에 금 보석 회사의 27.93%가 몰려있습니다. 중국 북부와 중부의 금 보석 기업 비중은 10% 미만에 그칩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