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서 생산량 80%, 아이폰 2배 폭등 의식했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반도체 및 반도체 생산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면제 조치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11일 오후 10시 36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서 이를 공식화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 무선통신 기기, 노트북 컴퓨터, SSD, LCD 모니터, 메모리, 태양광 패널, 단결정 반도체 칩, 기타 반도체 장치, 반도체 부품, 직접회로(IC), 광전자 장치 등을 상호관세 부과 면제된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과 대만에 대한 관세 부과로 아이폰과 맥북 가격이 2배 이상 급등하는 것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현재 아이폰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나머지 분량은 인도·베트남·브라질 등 여타 국가로 분산돼 있다. 중국에서 들여오는 품목도 면제 대상이어서 트럼프 정부의 중국에 대한 첫 관세 완화 의미가 담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 경우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약 50%가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 유럽,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128개국에 수출한다.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다.
이처럼 애플이 해외에서 생산하는 아이폰을 비롯해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 등 미국인의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에 고율의 관세를 물릴 경우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을 고려한 조치인 것으로 해석된다.

인기 있는 가전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미국 제조업을 설립하는 데는 몇 년이 걸린다. 소비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애플과 삼성전자를 포함한 거대 전자 제품 회사들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가 삼성전자, 애플, TSMC, 델, 엔비디아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CNBC는 “자사 제품의 8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에 유리한 조건”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