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축의금 얼마를 넣을까?
수시로 날아드는 결혼 관련 메시지를 보며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람은 나의 애경사때 얼마를 했는데 같은 액수로 하나 물가로 올랐으니 더 해야 하나’부터 ‘이 사람은 앞으로 내가 닥칠 애경사 있으니 더 넣어야 하지 않을까’또는 ‘이 사람은 내 애경사때 받지도 않았는데 해야할까 아니면 무시해야할까’고민아닌 고민이 교차한다.
해야한다면 액수는 얼마를 해야할까?
최근 HR테크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에서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2025년 기준 직장동료의 적정 결혼 축의금에 대해 설문조시를 실시했다.
그 결과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까지 하는 경우 1위는 10만원(61.8%), 2위는 5만원(32.8%), 3위 15만원(1.4%)으로 나타났다.
사적으로 친하든 협업하거나 일로 엮인 동료이거나 관계없이 1위는 10만원 이었다.
하지만 사적으로 친하면 ‘20만원을 낸다’는 14.3%, ‘15만원을 낸다’는 12.7%, 5만원 미만은 9.4%로 나타났다.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있는 경우 5만원(30.0%), 5만원 미만 3.8%, 15만원 3.3% 순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같은 조사를 실시한 2023년 협업할때만 만나는 직장 동료의 축의금이 5만원이 65.1%이었으나 올해 조사에서는 10만원이 60.1%로 조사되어 물가 상승의 영향인것으로 분석된다.
결혼식 참석 범위는 1위‘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 44.4%, 2위‘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 28.2%, 3위‘사적으로 친한 동료’ 25.9%, ‘직장동료 결혼식은 참석하지 않는다’ 1.4%로 나타났다.
참석 안한 이유는 ‘직장동료 결혼식까지 참석할 사이 아니다 생각’ 33.3%, ‘개인 일정이 우선’ 25.0%, ‘축의금에 대한 경제적 부담’16.7%, ‘주변 동료들이 참석하는 분위기가 아니어서’ 16.7%, ‘이직하거나 퇴사해 앞으로 볼일 없을 것 같아서’8.3% 등의 순이었다.
이방희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