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없는데"... 지방은행, 마지못해 주담대 금리인상

2024-10-28

부산‧경남銀 이어 전북銀도... 금리 인상

'대출 쏠림' 우려라지만... 수요 실제 낮아

지방은행, 지난 8~9월 주담대도 오락가락

반면 시중은행 주담대 잔액 15조원 늘어

업계 관계자 "대출 더 받으면 좋았을 것"

광주은행도 금리 인상 행렬에 동참 예상

지방은행이 시중은행을 따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인상 행렬에 동참하고 있지만 ‘울며 겨자 먹기’란 해석이 나온다. 실상 지역에서 주담대 수요는 턱없이 낮은 데 반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단 배경에서다. 지방은행들은 당국 눈치만 살피느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모습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1일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일제히 주담대 금리를 인상했다. 부산은행은 비대면 주담대 상품의 우대금리를 0.5%포인트(p) 축소하면서 금리가 올랐고, 경남은행도 모바일 주담대 상품 가산금리를 0.2%p 상향 조정했다.

부산‧경남은행은 앞서 시중은행을 따라 주담대 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지난 8월 말에도 부산은행은 금리를 0.4%p 올렸고, 경남은행은 8~9월 두 차례 주담대 금리를 인상했다.

잠잠했던 전북은행도 지난 16일 주담대 가산금리를 0.16%p 인상했다. 전북은행에선 일찍이 부산‧경남은행이 금리를 올릴 때도 별다른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았는데, 업계 내 잇따른 금리 인상이 결국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행의 이런 움직임에는 당국의 ‘대출 조이기’로 인한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 인상 행렬이 원인이 됐다는 견해가 짙다. 시중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지방은행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수요가 몰려 ‘대출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현실은 정반대인 모습이다. 지방은행은 본거지인 지역을 중심으로 영업하고 있는데, 실상 지역에선 수도권에 비해 주담대 수요가 턱없이 낮다. 이 때문에 주담대 수요가 급증했던 한 달 전에도 지방은행업계선 시중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졌지만 이로 인한 ‘풍선효과’는 미미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9월 지방은행 4곳(부산‧경남‧광주‧전북)과 최근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전 DGB대구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전월 대비 6000억원 증가한 43조2129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앞서 지난 8월엔 되레 주담대 잔액이 5000억원가량 줄었다. 결과적으론 ‘원상복구’만 됐다는 해석이다.

반면 시중은행은 가계대출 수요가 폭증하면서 지난 8~9월 주담대 잔액이 늘었다. 지난 8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 잔액은 전월 대비 9조원가량 증가한 568조7000억원에 달했다. 이어 지난 9월엔 574조5764억원으로 약 6조원 증가했다. 지방은행과 상황이 확연히 다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최근 주담대 금리 인상은 사전에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면서도 “시중은행이 대출 금리를 올리는데 지방은행으로선 이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다른 한 업계 관계자도 “연초 당국에 보고한 가계대출 한도에 따라 그간 유동적으로 대출을 관리해 왔으나, 당국이 방침을 강화하면서 대출 확대를 경계해 나갈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출을 더 받으면 더 좋기는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방은행으로선 어쩔 수 없는 심경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모습이다. 지방은행은 오랜 지역 경기 침체와 격화된 은행권 경쟁 등에 이미 곤궁한 처지에 놓여 있다. 주담대 잔액이 시중은행 대비 극히 낮은 수준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영업 확대가 절실한데, 지방은행들은 당국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아직 주담대 금리 인상을 시작하지 않은 광주은행 역시 향후 금리 인상 행렬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광주은행도 업계의 이같은 분위기에서 마냥 자유로울 순 없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광주은행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고, 주담대 수요도 아직은 많이 증가한 바 없어 현재까진 금리 인상 계획이 없다”고 했다.

여기에 국토교통부(국토부)가 대표적인 서민 정책금융 상품인 ‘디딤돌대출’까지 규모를 줄이기로 하면서 한도는 더 축소되는 듯했지만, 최근 이를 철회해 지방은행들은 한숨은 놓은 모습이다. 국토부는 지역과 주택유형별로 주택시장 현황이 달라 향후 비수도권은 방침에서 제외하는 등 맞춤형 대책을 내놓겠단 입장이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금은 가계대출이 늘어도 줄어도 고민인 상황”이라며 “늘면 금리 인상을 단행해야 해 쉽지 않고, 줄면 또 줄어드는 대로 어렵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